고객지원
HOME    HOME   >   고객지원   >   매일신문 칼럼

매일신문 칼럼

매일신문 칼럼

Part. 5. 거금을 들여서 왜 난을 사는가?

본문

 

 

 

Part. 5. 거금을 들여서 왜 난을 사는가?

 

난초는 콜렉션이다. 콜렉션은 보여주기 위함이다. 보여 주려면 본인이 만들고 다듬고 애정을 쏟은 본인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또한, 한해 한해를 거듭하면서 점점 더 수준을 높여나가는 모슴이 분명하게 보여야 한다. 난초를 보여줄 수 있는 터미널이 바로 전시회이다. 전시회는 그 시대상을 모두 보여주는 하나의 축소판이다. 전시회를 위해서 난이 존재하고 우리를 위해서 난이 존재한다. 전시회의 백미가 입상인 것이다. 전시회를 위해 우수한 난을 필요로 하고 우수한 난은 거금을 들여가면서 까지 구하게 된다.바로 큰 시합에서 높은 성적의 입상을 하기 위해서다.라고 본다.

 

그렇다면 그저 촉당 몇 백만 원 쯤 하는 난들은 높은 성적으로 입상할 수 있는 확률이 낮아서 몇 천만 원씩 하는 거금의 품종들을 입수하는가? 그렇다.. 난을 하면서 반드시 큰 시합에서 높은 수준의 입상을 하여야만 행복하고 만족도가 높아지는가? 대다수 그렇다.. 이 부분의 수급을 담당하는 분야가 상인들이다. 또한, 구매자들은 산채를 통해서 스스로가 확보 할 수 있는 확률적 기회의 비용을 고려해, 어떤 품종은 억대로 또 어떤 품종은 몇 백만 원대로 돈과 품종의 교환이 일어난다.

 

이 사슬 속에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하나의 생태계가 만들어졌다. 그 속에는 도시농업도 존재하고 원예치료도 존재하고, 웰빙과 힐링도 존재하고, 작가도 존재하고, 필자가 운영하는 학원도 존재하고, 농가와 애호가도 함께 존재한다. 이 생태계가 건강하게 작동되어야 난 문화의 지속성과 동력이 생기게 된다. 낡은 제도는 고치고 새로운 인구를 맞이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야 건강한 난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미 초 고령화의 길에 접어든 우리 난계의 간절한 소망인 저변확대 또한 가능해진다.

 

지금의 난계는 옵션(예와 미적으로 볼 때 감상 가치를 더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요소)을 많이 갖춘 품종들이 즐비하다. 작가적 소양과 역량의 개발과 훈련을 통해 수작을 계획하고 설계해 긴 시간 만들고 다듬어 명작을 만들면, 돈질에만 의존해 성적을 유지하는 부류들과는 질적으로 차별화를 시킬 수 있게 되는데, 우리나라의 심사 방법이 30년 전에서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보니 상당한 수준의 옵션을 갖추지 않고서는 중량감 있는 입상은 쉽지가 않는 현실이다. 그러나 필자는 제자들에게 늘 이렇게 교육해 왔다. 작품은 기르는 것이 아니고 만드는 것이다. 그러려면 재배 생리와 구조 학을 열심히 익혀라!

 

전시회나 대회에서 출품을 염두에 둔다면, 무리하지 않는 범위의 예산으로 출품 장르를 구상하고, 그 후 세련된 옵션을 최대한 갖춘 품종의 소재 묘를 구상해 1~2촉을 들여와 3~4년 후를 바라보며, 소재 묘의 장르에 가장 부합하는 작품 모식도를 설계해 만들어라. 그 기간 중 위기대처 기술을 잘 익혀서 위기를 미리 없애거나 초기에 잘 탈출해라. 그르면서 3~4년간 묵묵히 모식도에 가장 가깝게 만들어라! 라고 가르친다. 그리한 후 출품 직전에 반드시 스스로가 페널티(감점)요소가 얼마나 있는지를 체크해 다음 작품부터는 유의하라고 주문한다.

 

페널티(감점)요소란?

천체 촉의 잎 장수가 모두 6장씩 되었는가? 그해 나온 전진 촉이 건강미를 유지한 채로 잘 나왔는가? 전체 잎 장이 알맞은 조도 하에서 유효적산치가 잘 맞아 건강미가 넘치는가? 전체 잎 장에 반점 하나라도 없는가? 전체 잎 장의 끝이 온전한가? 바이러스 의심으로 비칠 약 흔이나 장해가 하나도 없는가? 전체 잎 장의 잎 길이가 고른가? 분내 뿌리 T/R율이 100%인가? 후발이라면 기부나 하단 부까지 무늬가 잘 익었는가? 가을 신아를 쏙아냈는가? 전체 잎에 작은 반점 하나라도 없는가? 중투의 경우 전체 잎의 녹 모자가 기부까지 고르게 내려갔는가? 황색의 탈색이 최대한 지연 시켰는가? 호피의 경우 상하 단절이 잘 일어났는가? 호피 사피 서반의 경우 전체 잎 장마다 고르게 무늬 발현이 되었는가? 사피의 경우 소멸을 최대한 지연 시켰는가? 사피의 경우 전진 촉 배열의 비율(%)을 얼마나 높였는가? 꽃대가 튼실하게 철사에 의존하지 않고 지탱하는가? 포기의 정면과 꽃의 정면이 일치하는가? 꽃대의 숫자가 홀수인가? 미숙 화는 없는가? 두화의 경우 주판이 제대로 일어섰는가? 꽃대의 신장이 포기의 키에 잘 맞는 길이로 신장시켰는가? 개화한 정도가 과숙해 에틸렌 가스가 나오지는 않는가? 전체 꽃대의 포의 하나라도 마르거나 손상되지 않았는가? 등을 꼼꼼히 따져보아 예상 점수를 스스로가 알 수 있어야 한다.

 

사실 완성도 높은 작품에 관해 심도 있게 연구한 사람을 필자는 본적이 없다.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은 자신과 싸움이므로 시합에서 인정해주든 아니든 상관이 없게 된다. , 무지에 의해서 등위가 바뀐 것을 이해하게 되면 그 또한 어쩔 수 없는 순리로 이해되기 때문에 크게 섭섭할 것도 없게 된다. 이렇듯 20여 가지의 요소를 잘 다스려야만 비로소 pro artist (전문작가)가 될 수 있다. 티코를 몰고도 벤츠를 이기는 카레이서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소재를 생산하는 농부보다 높은 격으로 자연 승화되므로 비로소 프로의 경지에 도달했다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되어야 저변확대의장이 열릴 것이고, 이렇게 만든 수 작품을 상욕에 사로잡혀 돈질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아마추어들에게 꽃대 한 송이 한 송이까지도 모두 작가의 땀방울 값으로 계산해 기존 방식에 비해 때로는 더블페이까지도 받으면서 판매한다면, 양쪽모두에게 이득이 될 것이다.

 

비로서 품종 전에서 작품전으로 허물을 벗께 된다. 이는 똑 같은 물감으로 그렸을 때 작품의 값이 달라진다는 어쩌면 평범한 섭리이다. 이렇게 되려면 제대로 배운 작가가 배출되어야 하고, 이들이 목소리를 키우고 수작으로 관객들의 찬사를 받을 때 심사 관행이 자동으로 개혁될 것이다. 국가자격증이 있는 분재 작가들과 우리도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지 않을까?

2018.05.말일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