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농업
HOME    HOME   >   도시 농업   >   한국춘란 이란?

한국춘란 이란?

    한국춘란 이란?
난은 기원전 6세기경 중국 공자(B.C. 552~479)에 의해서 씌어진 『시경』에서부터 유래되어 중국의 남송(1127~1287)때 『초사변증(楚辭辯證, 1199)』에도 언급되어 있으며, 13세기에는 『금장난보(金障蘭譜)』와 『왕씨난보(王氏蘭譜)』가 저술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선비들의 기상에 비유되며 문인화의 중요한 축을 이루어 전해 내려왔으며 대부분 한란이나 일경다화의 심비디움 계통이었고, 선조시대에 이증이 그린 『춘란도(春蘭圖)』에서는 일경일화인 한국춘 (Cymbidium Goeringii ) 을 확연하게 그리기도 했다(강, 1989).

난과식물은 주로 열대와 아열대에 분포하며 단자엽식물 중 가장 진화된 식물로서 가장 많은 종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700~900 속에 25,000~35,000 여종이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새로운 속이나 종이 계속해 나오고 있다(Lawler, L. J., 1984. Lee, 2009). 이들 중 Cymbidium속은 전 세계적으로 약 70 여종이나 되고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자생하며, 아시아에서는 동남아시아권 · 중국 · 한국 · 일본 · 호주 등지에 분포되어 있고, 저지대인 해변에서부터 해발 2,700m 높이의 고산지대까지 자생하고 있다(Jung, 2010).

춘란(Cymbidium )속 식물은 이들 중 반 정도가 동양란에 속한다. 한국에 서식하는 심비디움속의 종류로는 춘란(Cymbidium goeringii REICHB.fil), 한란(Cymbidium kanran MAKINO), 죽백란(Cymbidium lancifolium HOOK), 소란(Cymbidium koran MAKINO), 대홍란(Cymbidium nipponicum MAKINO)이 있으며, 춘란속에 속하는 동양란의 생태형을 분류해 보면 대부분의 종들이 지생란 또는 반지생란에 속하며 중국, 일본, 한국에 자생하는 춘란 은 Cymbidium goeringii이며 대부분 향기가 적거나 없고, 중국과 대만에 자생하며 향기가 우수한 또 다른 종인 중국춘란(Cymbidium forestii)과 구별된다(정, 2010). 이 중 춘란은 Cymbidium류 중에서 잎이 작고 내한성이 강하며 분포 위도 상으로 볼 때 가장 북쪽에까지 분포되어 있는 종으로, 한반도에서는 황해도 장산곶과 서해의 백령도까지 분포되어 있고, 동쪽으로는 동해안을 따라 북위 38°선 이북인 강원도 고성까지 분포되어 있다(Lee, 2008). 한국춘란은 온난화의 영향으로 점차 북상을 하고 있는 실정으로 앞으로 임 산자원적 가치는 무한하다할 수 있다(Lee, 1988; Yun, 1984; Cho와 Kwack 1994b; Lee 등, 1992; Park 등, 1995).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난과식물은 대부분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지역에 분포하며 내한성이 강한 몇 종류만 북부지방까지 자생한다. 이 중 특히 춘란(Cymbidium goeringii )은 한반도에 서식하는 약 90 여종의 난과 식물 중 가장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강, 1989). 자생지는 해발 100~400m의 주로 동동남과 동동북의 방향으로 완만한 산악지역이나 저 구릉지역의 유기물이 풍부한 곳에서 왕성한 생육을 보였으며, 교목에서 초본층까지 여러 층의 아래에서 생육하였고 대부분의 자생지에서는 소나무와 참나무 숲에 서식을 하였다. 자생지 밝기는 여름철 가장 밝을 때에 적절히 차광이 되어 약 4000Lux 정도의 밝기에서 왕성한 생육을 보였다(박, 2000).

중국에서 서식하는 춘란(Cymbidium goeringii )은 호북성과 하남성을 중심으로 하여 분포하고 재배규모가 큰 농가들은 대량생산을 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학계나 정부관련기관에서 유전자원적인 중요성을 일찍 인식하여 이에 따른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Lee, 2009). 춘란은 6월~8월경 화아분화가 일어나면 이듬해 3~4월경에 꽃이 피며 화경, 꽃받침, 꽃잎, 순판, 화주로 이루어져 있다(박 등, 1990). 이들 각각의 기관은 적거나 많은 양의 안토시아닌이 존재하고 있는데, 크거나 작은 반점(斑點)이나 선(線) 등으로 나타나며 각각의 개체별 유전적 고유특징으로 꽃에 표현되고, 크기 및 형태 등은 외부의 환경요인에 의하여 일부 소폭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근래에 들어서 우리나라는 1960년경부터 다양한 난문화가 발생하였으며 1970년경에 들어서는 일본춘란계와 중국춘란계의 영향을 받아 다른 난과식물들과 함께 한국춘란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Hirano 등, 1996).

우리나라에서 1960년경부터 한국춘란을 취미로 재배하기 시작 한 후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기 시작 한때는 1980년경이다. 한국춘란은 대다수가 농가의 형태로 전업 또는 부업으로 재배를 하며 한 해 한 해 생산된 난들은 유통점 또는 직거래의 형태로 판매가 되고 있다. 한국춘란을 취미나 도시농업으로 활용하고 있는 인구는 전국에 약 2만 명 정도이고, 시장규모는 연간(2015년 기준)2000억 정도로 추정하고 있으며, 장래에는 1조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인용문헌
이대건, 고재철. 2009  한국춘란(Cymbidium goringii )의 삭과형성 및 종자 발아에 미치는 NaOCl의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대건, 고재철. 2010  춘란(Cymbidium goringii )의 개화정도별 삭과 형성 및 종자 발아에 미치는 NaOCl의 영향.
한국화훼연구회지 18(4):271-277.

강법선. 1989  동양란. 난과생활사
김갑종. 1996  춘란과 기타 Cymbidium교배종의 종자발아에 관하여.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갑종 등. 1997  춘란과 기타 Cymbidium교잡종의 종자발아. 한국원예학회지 6(1):25-32
김동원등. 1997  한국춘란과 양란 심비디움 유묘의 생육에 미치는 배양토의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38(6):749-753.
김수남, 임영득. 1993  보춘화(Cymbidium goringii )의 분포를 제한하는 환경요인. 인천교육대학논문집 27(1).
박상길, 히라노. 1996  새로운 춘란. 난과생활사
박봉규 등. 1993  충남 서부 해안 지역 춘란 자생지의 지리적 및 생태적 특성과 자생춘란의 생육상. 공주대학교 자원과학 연구 1.
박봉규. 1995  자생춘란의 충남 지역 분포·생태 및 형태적 특성과 엽변이체의 키메라적 특성. 단국대학교대
소인섭 등. 2003  개화 유도 처리가 한국춘란의 기내 개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훼연구회지 11(2):191-198.
안소연. 1993  배지·배양환경 및 생장조절물질이 한국자생춘란(Cymbidium goeringii )의 무균배양시 근경 생육과 기관 분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동우 등. 1992  한국춘란의 몇 가지 생리적 특성. 경북대학교 논문집 52.
이동우 등. 1992  한국춘란의 분포와 환경. 경북대학교 논문집 52.
이동우 등. 1995  한국춘란 잎 무늬 종에 있어서 엽록체의 전자현미경적 관찰 한국원예학회지 36(4):574-581.
이만상, 이중호. 1975  한국춘란의 수정 및 원배형성에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재석, 정재동, 정민섭, 1990  한국춘란의 자생 지역 간 동위효소 Banding Patten의 변이. 한국원예학회 31:176-183.
박재석. 2000  춘란(Cymbidium goeringii )의 자생지 환경과 개화 생리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재석 등. 2001  한국춘란의 화아분화 과정과 전자현미경 관찰. 한국원예학회지 42(1):103-106.
박재석 등. 2001  온도와 GA·ABA 처리가 춘란의 개화 및 화경 신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42(4):469-472.
박재석 등. 2001  춘란 화아형성에 미치는 온도․GA․BA 및 Uniconazole 처리의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42(5):587-590.
박재석 등. 2001  Uniconazole과 GA처리가 춘란의 화아형성․탄수화물 함량 및 GA유사물질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42(5):591-595.
박춘배. 1986  한국자생춘란(Cymbidium goeringii )의 조직배양 기술에 관한연구. 제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춘배 등. 1989  한국자생춘란(Cymbidium goeringii )의 조직배양 개발에 관한 연구. 재주대아열대농업연구 6:31-40. 관한 연구.
한국육종학회지 7(3):143-146.
이영현. 1997  용기재배에 있어 한국춘란의 수분 부족에 따른 생육 반응에 관하여. 순천향대 기초과학연구 3(1).
이종석. 1983  한국 자생란의 생태에 관한 연구-호남지방의 야생 춘란을 중심으로-. 재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종석. 2006  실용 한국의 난. 향문사 p 175.
이흥우. 2000  춘란과 한란의 화분 재배에 있어 근권 온도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소희. 1999  보춘화(Cymbidium goeringii )잎 변이종(복륜) 의 기내 분화 및 생육에 미치는 배지와 생장조절물질의 영향.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길웅 등. 1994  충남 지역 자생 춘란의 분포와 기상 요소. 공주대자원과학연구 2.
정봉택. 1985  한국춘란의 종자 무균배양 및 생장점 배양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재동. 2010  이론과 실제 한국춘란. 월간 난세계. p25-28.
조근호. 곽병하. 1994  국내에 있어서 춘란(Cymbidium goringii ) 및 동백나무 자생지와 그 분포 생태에 관하여.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근호. 1995  한국춘란(Cymbidium goringii )의 환경조건에 따른 온도 변화와 생육에 관하여.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근호, 곽병하. 1996  환경요인이 한국춘란의 여름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37(5): 708-712.
최수옥 등. 1992  춘란(Cymbidium goeringii ) 종자의 발아로부터 유묘에 이르는 생육단계별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한국원예학회지 33(2):190-195
최지용. 1996  한국춘란과 다른 Cymbidium과의 교배친화성에 관하여.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지용, 소인섭, 박천호, 곽병화. 1998  한국춘란과 다른 Cymbidium속의 교배친화성에대한 RAPD 분석. 원예과학기술지 16:361-363.
황인택. 1989  심비디움(Cymbidium goeringii )생장점 배양에 있어서 생장조절제·영양 및 비영양인자가 기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een C.-G., Na A.-S., Kim H.Y. 2002.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for genetic analysis of Phalaenopsis Species.
J. Kor. Sci. 43:387-391.
Cargill E.J., Clark L.A., Steiner J.M. Murphy K.E., 2002.  Multiplexing of canine Microsatellite markers for whole-genome screens. Genomics 80: 250-253.
Choi J.Y., So I.S., Pak C.H. Kwack B.H., 1998.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on compatibility of Korean native Cymbidium goeringii with other Symbidium species. Hort. Sci. Technol. 16: 361-363.
Garay L.A., Sweet H.R. 1974.  Natural and artificial hybrid genetic names of orchid. In:C.L. Withner. The Orchids. Jhon and Son. New York. pp.485-561
Heaton M.P., Harhay G.P., Bennett G.L., Stone R.T., Grosse W.M., Casas E., Keele J.W., Smith T.P., Chitko-McKown C.G., Laegreid W.W. 2002.  Selection and use of the SNP markers for animal identification and paternity analysis in U.S. beef cattle. Mamm. Genome 13: 272-281.
Hsieh H.M., Hou R.J., Tsai L.C., Wei C.S., Liu S.W., Huang L.H., Kuo Y.C., Linacre A., Lee J.C. 2003.  A highly polymorphic STR locus in Cannabis sativa. Forensic Sci. Int. 132: 53-58.
Kim K.S., Yeo J.S., Choi C.B. 2002.  Genetic diversity of north-east Asian cattle based on Microsatellite data.
Animal Genet. 33: 201-204.
Lawler L.J. 1984.  Ethnobotany of Orchidaceae. p30-116. In: J. Arditti(ed.) Orchidbioiogy, reviews and perspectives, Ⅲ. Comstock Publishing Associate. Cornell University Press.
Lee J.M., Nahm S.H., Kim Y.M., Kim B.D. 2003.  characteristicization and molecular genetic mapping of Microsatellite loci in pepper. Theor. Appl. Genet. 108: 619-627.
Lee J.S., Kim B.M., Yu S.O., Ryu K.H. 2004.  Analysis of phenotypic and genetic polymorphism of self-pollinated seedings of Korean native Cymbidium goeringii. Kor. J. Hort. Sci. Technol. 22: 486-490.
Murry J.M., Thomson W.F. 1980.  Rapid isol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lant DNA. Nucleic Acids Res. 8: 4321-4325.
Patwary M.O., Mackay R.M., Meer V.D. 1993.  Revealing genetic markers in Gelidium Vagum(Phodophyta) through the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technique. J. Phycol.29: 216-222.
Smith J.L., Hunter K.L., Hunter R.B. 2002.  Genetic variation in the terrestrial orchid Tipularia discolor.
Southeastern Nat. 1: 17-26.
Williams J.G.K., Kubelik A.R., Livuk L.J. 1990.  DNA Polymorphisms amplified by arbitray primers are useful as genetic markers. Nucleic Acids Res. 18: 6531-6535.
Wu J.L., Sinha P.K., Variar M., Zheng K.L., Leach J.E., Courtois B., Leung H. 2003.  Association between molecular markers and blast resistance in an advanced backcross population of rice. Theor. Appl. Genet. 108: 1024-1032.
Xiaohong Y., Li G., Bo Y. 2007.  Genetic diversity of wild Cymbidium goeringii (Orchidaceae) populations from Hubei based on inter-simple sequence repeats analysis. Frontiers Biol. China 2: 419-424.
오늘보지 않기 [닫기]